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오늘은 이태원 참사 2주기입니다. <br><br>좁은 골목길에 들어선 불법 증축물들이 피해를 키웠죠. <br><br>지금은 어떤지, 김태우 기자가 다시 가봤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가파르고 비좁은 이태원 골목에서 핼러윈의 비극이 벌어졌습니다. <br> <br>통행로를 가로막은 불법 증축물이 피해를 더 키웠단 지적이 나왔는데, 얼마나 개선됐을지 다시 가봤습니다.<br><br>뿌연 먼지를 날리며 철거가 진행 중입니다. <br> <br>이태원 참사 현장에 남아있던 마지막 불법 증축물이 2년 만에 헐리는 겁니다. <br><br>하지만 바로 인근 골목에는 여전히 무단 증축된 건물이 가득합니다. <br><br>불법 증축한 테라스와 계단, 가림막들로 거리는 더욱 비좁아졌습니다. <br> <br>이만큼 튀어나온 부분이 당초 설계도에 없는, 불법 증축 구조물입니다. 구조물 폭은 1m가 넘어가고요, 길이도 9m 가량입니다.<br> <br>자체 제작한 구조물로 보행로를 막고 가게 면적을 늘리는 겁니다. <br><br>[황지호 / 서울 서대문구] <br>"튀어나와 있는 것들, 걸을 때 방해가 되는 것들이 있으니까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." <br> <br>구청이 철거를 지시했지만 업소들은 모르쇠입니다. <br> <br>철거하는 비용보다 벌금을 내는게 더 낫다는 겁니다. <br><br>[불법증축 건물주] <br>"지금 돈이 없어서 철거를 못하고 있는 상황이거든요." <br> <br>구청도 별다른 방법이 없단 입장입니다. <br> <br>[서울 용산구청 관계자] <br>"법률상 그걸(철거) 강제할 수 있는 그런 제도는 없고요." <br> <br>젊은이들이 몰리는 홍대 앞 거리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. <br> <br>불법 증축물에 불법 주차된 차량까지 겹쳐 통행을 방해하기 일쑤입니다. <br> <br>거리를 점령한 매대와 입간판, 쌓아둔 물건 탓에 도로 폭은 최소 안전 기준인 4m보다 1m 이상 줄어 있습니다.<br><br>[서울 마포구청 관계자] <br>"단속반이 왔을 때는 (간판을) 안에 들여놨다가 단속반이 나가고는 또 설치하는 그런 분들도 계셔서…" <br> <br>참사 이후 대대적 단속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천 개가 넘는 불법 증축물이 버티고 있습니다.<br> <br>이런 무허가·무신고 시설물 탓에 서울시 면적의 약 13%가 인파밀집 취약지역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.<br><br>[공하성 /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] <br>"과태료를 대폭 높여서, 영업주가 자진 철거할 수 있는 그런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습니다." <br> <br>참사가 발생한 지 2년이 흘렀지만 안전불감증은 여전합니다. <br> <br>다시간다 김태우입니다.<br /><br /><br />김태우 기자 burnkim@ichannela.com